티스토리 뷰

반응형

고배당주 투자는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제공하지만, 배당소득세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 주식 투자자는 배당소득세(최대 30%)를 원천징수당하고, 한국에서도 추가로 종합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커버드콜(Covered Call) 전략을 활용하면 배당 대신 옵션 프리미엄을 통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고배당 투자자가 커버드콜을 활용하여 합법적으로 세금을 절감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미국주식 고배당 투자자를 위한 커버드콜 절세 방법
미국주식 고배당 투자자를 위한 커버드콜 절세 방법

커버드콜 전략이란?

커버드콜은 보유한 주식(Underlying Stock)을 담보로 콜옵션(Call Option)을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옵션 매도자는 매수자로부터 프리미엄을 받고, 특정 가격(행사가)에서 주식을 매도할 의무를 지닙니다.

 

커버드콜 기본 개념

  • 보유 주식: 투자자가 이미 보유한 주식
  • 콜옵션 매도: 주식을 일정 가격에 팔겠다는 계약을 체결하고 프리미엄(옵션 수익) 수령
  • 만기 결과
    • 주가 상승 시: 옵션이 행사되면 주식을 매도해야 함
    • 주가 횡보 또는 하락 시: 옵션이 무효화되고 프리미엄만 수익으로 남음

이 전략을 활용하면 배당을 받지 않더라도 옵션 프리미엄을 통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세금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배당소득보다 유리한 옵션 프리미엄

고배당주는 배당 수익이 높은 만큼 배당소득세 부담도 큽니다. 미국 주식의 경우, 배당소득세가 원천징수되며(한국 투자자는 15%), 한국에서 추가로 종합소득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옵션 프리미엄을 활용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배당소득세 vs 옵션 프리미엄 과세 비교

구분 배당소득세 옵션 프리미엄
과세 기준 배당 지급 시 원천징수(미국 15%) + 종합소득세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 (양도 차익 발생 시)
원천징수 O (미국 주식 배당 15%) X
종합소득세 포함 O (2,000만 원 초과 시) X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적용)
절세 효과 종합소득세 대상 연간 250만 원까지 비과세

옵션 프리미엄을 배당 대체 수익으로 활용하는 전략

  1. 배당을 지급하는 주식을 보유하면서 커버드콜을 매도한다.
  2. 옵션 프리미엄을 통해 추가 수익을 얻는다.
  3. 배당소득보다 유리한 과세 구조를 활용하여 절세 효과를 극대화한다.

 

커버드콜 절세 전략 활용법

커버드콜을 활용한 절세 전략을 실전에서 적용하기 위해 몇 가지 핵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① 배당락일(Ex-Dividend Date) 전후 전략

  • 배당을 받을 경우: 배당락일 이후 커버드콜 매도
  • 배당을 피할 경우: 배당락일 전에 커버드콜 매도

배당락일 전에 콜옵션을 매도하면 배당 대신 옵션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으며, 배당소득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② OTM(Out of The Money) 옵션 활용

  • 행사가를 현재 주가보다 높은 수준으로 설정하면 옵션 행사 가능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 OTM 옵션을 선택하면 배당 대신 안정적인 옵션 프리미엄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③ 장기 투자자는 지속적인 커버드콜 롤오버

  • 만기가 다가오면 새로운 커버드콜을 매도하여 수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을 줄이고, 장기 투자 시 안정적인 추가 수익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④ 연간 250만 원 양도소득세 비과세 한도 활용

  • 옵션 프리미엄과 양도소득을 조절하여 연간 250만 원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하면 세금 없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결론: 커버드콜을 활용한 합법적 절세 전략

고배당주 투자자는 배당소득세 부담이 크지만,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면 옵션 프리미엄을 통해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옵션 프리미엄은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기준이 적용되어 연간 25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종합소득세 대상이 아니므로 추가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배당주 투자자는 배당을 받는 대신 커버드콜을 활용한 절세 전략을 고려해 볼 만합니다.

반응형
반응형